해쉬맵(HashMap) 설명 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프로그래밍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자료구조 중 하나인 해쉬맵(HashMap)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해쉬맵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자랑하는 자료구조랍니다. 그럼 해쉬맵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언제 사용하면 좋은지 알아볼까요?

해쉬맵이란?

해쉬맵은 키(key)와 값(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각 키는 고유하며, 해당 키를 통해 값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어요. 해쉬맵의 가장 큰 장점은 검색, 삽입, 삭제 연산이 평균적으로 O(1)의 시간복잡도를 가진다는 점이에요. 이는 해쉬맵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매우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죠.

해쉬맵의 작동 원리

해쉬맵은 내부적으로 배열(array)과 해쉬 함수(hash function)를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해쉬 함수는 주어진 키를 특정한 인덱스 값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인덱스를 통해 배열에서 값을 저장하거나 검색할 수 있게 되죠.

예를 들어, 우리가 “apple”이라는 키와 “fruit”라는 값을 저장하고 싶다고 해볼게요. 해쉬 함수는 “apple”을 특정한 인덱스로 변환하고, 이 인덱스 위치에 “fruit”을 저장합니다. 이후 “apple”을 키로 값을 검색하면, 해쉬 함수가 다시 “apple”을 인덱스로 변환하여 “fruit”을 찾아주는 방식이에요.

해쉬 충돌(Hash Collision)

해쉬맵을 사용하다 보면 해쉬 충돌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키가 동일한 해쉬 값을 가질 때 발생하는데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쉬맵은 여러 가지 충돌 해결 방법을 사용합니다.

1. 체이닝(Chaining): 동일한 해쉬 값을 가진 요소들을 연결 리스트(linked list)로 관리하여 충돌을 해결합니다.

2. 오픈 어드레싱(Open Addressing): 충돌이 발생하면 다른 빈 인덱스를 찾아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해쉬맵의 사용 예시

해쉬맵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우리가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해쉬맵이 딱이죠. 또한, 키-값 쌍으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할 때, 예를 들어 학생들의 이름과 학번을 저장할 때도 해쉬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트에서 또 만나요! 해피 코딩!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