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현재를 기준으로 호주 IT 기술 이민 관련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전공자 비전공자를 가르는 기준
전공인지 아닌지 말하는 기준은 영문 졸업장에 major 라고 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4년제인 경우 25%를 ICT 관련 과목으로 수강해야 합니다..
33% ICT content for a 3 year course
25% ICT content for a 4 year course
20% ICT content for a 5 year course
관련 과목인지는 ACS에 영문 졸업증명서를 제출하면 거기에 있는 영문 과목명을 보고 판단합니다.
컴퓨터 관련 과목말고도 이산수학, 통계학 이런 과목들도 ICT 과목으로 인정하고 있고요.
나이)
18~24: 25점
25~32: 30점
33~39: 25점
40~44: 15점
45~49: 0점
영어)
아이엘츠 이치 6: 0점
아이엘츠 이치 7: 10점
아이엘츠 이치 8: 20점
한국 경력) 단, 경력심사시 2~6년을 제외하게 됨
최근 10년간 3년: 5점
최근 10년간 5년: 10점
최근 10년간 8년: 15점
호주 기술)
최근 10년간 1년: 5점
최근 10년간 3년: 10점
최근 10년간 5년: 15점
최근 10년간 8년: 20점
학위)
박사: 20점
석사, 학사: 15점
준학사: 10점
저의 경우는 아이엘츠 이치 7점을 PTE 시험으로 이치 65점을 받아서 10점을 얻었습니다.
일단 위 기준을 다 맞췄다면 독립기술이민 비자(Skilled Independent visa) 를 받아서 호주 이민이 가능하다.
하지만, 2012년 이후 예전과 달리 점수를 채워서 신청하면 영주권을 바로 받는 것이 아니라
EOI(Expression of Interest)
즉, "내가 60점은 넘겼고 호주 이민에 흥미(Interest)가 있다" 라고 신청을 하면 먼저 신청한 높은 점수에서 부터 초대장(invitation)을 주게 되고 그럼 신청해서 영주권을 받을 수 있게 변경 되었다.
그럼 60점이 넘으면 EOI를 제출해서 바로 invitation을 받을 수 있으냐? 에 대 한 답은가장 하단의 참고2) ( 최근 1년치 cut-off) 를 봅시다.
(최신 정보를 보시려면 http://www.border.gov.au/Busi/Empl/skillselect 를 참고하새주세요.
최근 지원가가 몰려서 cut-off 점수가 올라간 3가지 직군(회계, ICT 분석가, 개발자)은 위와 같은 점수가 필요합니다.
2016년 7월~2017년 6월까지의 회계년도 기준으로 최근 점수가 발표 되었고,
2016년 7월 6일 까지 결과)
제가 기술심사를 준비하고 있는 2613(대부분의 개발자 직군)은 오늘 발표난 7/6 round 결과는 65점 입니다.
즉, 65점을 채워야 초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 테이블을 보시면 4월 20일에 신청한 65점까지 초대가 갔다는 의미입니다.
Points Description Points score Visa date of effect 2211 Accountants 70 30 May 2016
2611 ICT Business and System Analysts 70 25 June 2016
2613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s 65 20 April 2016
아래는 Occupation Ceiling Value 2016-2017 과 현재 받은 결과 입니다.
즉, 개발자 직군은 회계년도 기준으로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그 전에 닫힐 수 있습니다. 올해도 5월에 닫혔으니깐요.) 까지 5662명을 invitation 하겠다 라는 의미이고, 230명에게 이미 초대장을 줬다는 것입니다(기준 2016년 7월 6일)
아직 제 초대장이 남아 있네요 ㅠㅠ
2611 ICT Business and Systems Analysts 1482 -60 2613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s 5662 -230 2631 Computer Network Professionals 1426 -421
다음 라운드는 7/20일 예정입니다.
이민성 홈페이지에 나오는 EOI 결과는 189(독립기술이민), 489 (친척스폰서)에만 해당됩니다.
추가적으로 주정부에서 190,489 후원을 받는 경우는 점수, date에 상관없이 invitation을 받습니다.
Skilled Nominated visa (subclass 190)
단, 190의 경우는 영주권을 받고 해당 지역에서 2년을 거주해야 하며,
489의 경우에는 4년의 임시 비자를 주고 그동안 2년 거주 1년 풀타임 근무(기술심사 직업과 상관없이 어떤 일도 상관없음)의 조건을 채우고 신청하면 바로 영주비자를 줍니다.
현재 저와 같은 한국 출신 개발자 직군이 주정부 후원을 받을 수 있는 곳은 2016년 7월 현재를 기준으로 NSW 와 SA 주 입니다.
다른 주는 job offer를 받아야 하거나 해당 주에서 대학졸업을 요하는 등의 기준이 있습니다.
NSW 주 상황 NSW주 는 아래 직군 에 +5점 주정부 후원을 주고 있으며, 261111 ICT Business Analyst ICT
261112 Systems Analyst ICT
261311 Analyst Programmer ICT
261312 Developer Programmer ICT
261313 Software Engineer ICT
하지만 +5점 주정부를 원하는 모두에게 주는 것은 아니고 아래와 같은 기준 으로 후원하고 있습니다. 1. Occupation
2. Australian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Border Protection (DIBP) points score
3. English language ability
4. Skilled employment
즉, 같은 개발직군을 기준으로 보면 1번은 같고, 2번은 이미 65점이 되는 사람은 주정부 후원을 구지 신청할 필요가 없으니 같을 것입니다. 나머지는 영어성적이 높으면 우선 후원을 받습니다.
261112 Systems Analyst ICT
261313 Software Engineer ICT
263111 Computer Network & Systems Engineer ICT
SA 주 상황 남호주는 아래 리스트 에 위에서 언급한 190, 489를 주고 있는데, 기준 이 점수가 영주권 계산점수 70점에, 영어를 잘하는 사람(아이엘츠 이치7 이거나 오버롤 7.5) 에게 기준을 주고 있습니다. 261111 ICT Business Analyst
261112 Systems Analyst
261211 Multimedia Specialist
261212 Web Developer
261311 Analyst Programmer
261312 Developer Programmer
261313 Software Engineer
261314 Software Tester
261399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s nec
즉, 190은 5점을 더해서 70점이 될 사람은 그냥 65점이어도 받을 수 있으므로 제외하니 사실 의미가 없고요.
489는 10점을 더해서 70점이 될 60점에 영어가 이치 7 있는 사람은 허용한다는 내용 입니다.
하지만 링크 에서 언급했듯이 이 70점이란 점수는 해당하는 지원자가 없으면 점차 내려갈 것 같기도 합니다. 70->65->60
"The minimum points requirement will initially be set at 70 points (including state nominationpoints) and then may be reduced to 65 points and then 60 poi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applicationsreceived."
CASE)
지금 영주권을 한국에서 경력을 쌓던 개발자(2613직군)가 신청할 경우
1) 70점을 자력으로 준비 -> 다음달에 영주권 받기
2) 65점을 자력으로 준비 -> 몇달 대기 -> 영주권 받기
3) 60점을 자력으로 준비 -> cut-off가 60점으로 내려오길 기다리기 -> 60점으로 내려오면 -> 영주권 받기
4) 60점을 자력으로 준비 -> NSW나 SA주 5점을 신청 -> 몇달 대기 (단, 5점을 못받으면 영원히 대기;;;) -> 만약 5점을 받은 경우 -> 영주권 받기 -> NSW나 SA주에 가서 2년 살기 (이민성에 친구가 문의했더니 도망가도 된다고 웃으면서 말했다고 함)
5) 60점을 자력으로 준비 -> NSW나 SA주 10점을 신청 (단 SA주는 영어 이치 7) -> 489 받기 -> 2년 가서 살고 그동안 1년 이상 일하고 (도망 못감) -> 영주권 받기
6) 55점을 자력으로 준비 -> NSW 10점을 신청 -> 약간 대기 -> 489 받기 -> 2년동안 NSW시골 가서 살고 그동안 1년 이상 일하고 (도망 못감) -> 영주권 받기 (단 이경우는 55점인데 이치 7이 나올 수는 없는 것 같아서 SA주 신청을 제외하였습니다)
7) 55점을 자력으로 준비 -> NSW나 SA주 5점을 신청 -> 몇달 대기 (단, 5점을 못받으면 영원히 대기;;;) -> 만약 5점을 받은 경우 -> 영주권 받기
8) 50점을 자력으로 준비 -> NSW 10점을 신청 -> 약간 대기 -> 489 받기 -> 영주권 받기
* 7,8 번의 경우는 주정부후원(190,489) 을 받기 힘들기 때문에 힘든 건 사실 입니다.
ps) 제 생각은 이번 회계년도가 회계와 IT가 마지막 이민이 가능한 년도가 될 것 같습니다.(제 개인적인 의견)
멜번에 있었을때 같이 시험 준비하던 외국 친구들(인도나 남미쪽..)이나
해외 커뮤니티에 있는 친구들을 보면 IELTS/PTE 8점으로 ( 특히 PTE... ) 추가 20점 맞아서 점수 채워서 신청하는 친구들이 정말 많았거든요... 이번달에 새로 65점으로 쿼터가 열렸지만 60점으로 내려가긴 힘들 것 같고, 곧 70점이될 것 같습니다.
혹시 호주로 IT 이민을 생각하거나 준비하고 계신분들은 빠른 시간내에 가능한 빠르게 준비하셔야 할 것 입니다.
2016년 7월~9월 분위기)
QLD에서 7월말에 개발자 쿼터가 열렸지만 1주일만에 필요한 사람을 뽑고 닫혔고,
VIC는 55+5, 60+5, 65+5 점 다양하게 초청을 하고 있지만 총 3달이 걸리고 rejection도 많습니다
ACT에서는 새로운 SOL을 발표했지만 개발자는 제외되어 있고 offshore(한국에서 지원하는 경우)는 지원받지 않고 있습니다.
NSW에서는 60+5점인 개발자도 뽑기 시작했습니다. 단, 경력 7년 후반이상 영어 10점 점수가 있는 지원자를 9월초부터 뽑고 있습니다.
이후 진행 상황 추가) 2016년 9월 2일: 당일 NSW Invitation apply 완료!
2016년 9월 13일: 추석 바로 전날 NSW Invitation Approval 을 받았습니다!
2016년 11월 15일: 비자 승인!!
2016년 12월 15일: 호주 브리즈번 입국
2017년 1월 4일: 호주 시드니 도착
참고 더보기
접기
참고1)
◇호주 정부에서 인정하는 한국 대학◇ (2007년 1월 기준) Section 1 호주 학위와 동일한 학사, 석사, 박사로 인정
Section 2 호주 학위와 동일한 학사, 석사, 박사(Case by Case)로 인정
Section 3 학사 학위는 호주의 2년제 학위로 인정
Section1 아주대 가톨릭대 전남대 중앙대 충남대 동국대 이화여대 한동대 한국외대 한림대 한양대 홍익대 인하대 세종대 건국대 KAIST 고려대 한국기술교육대 경희대 경북대 포항공대 부산대 세종대 서울대 서강대 숙명여대 숭실대 성균관대 울산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Section2 안동대 안양대 경주대 경상대 백석대 한경대 한일대 칼빈대 창원대 제주대 한라대 한림대 진주대 초당대 전북대 한밭대 청주대 총신대 한북대 조선대 극동대 충청대 충북대 강원대 청원대 대불대 한서대 한신대 한성대 대구대 대전대 대진대 단국대 동아대 금강대 동의대 동해대 동서대 동신대 동양대 호남대 호서대 호원대 군산대 한려대 한남대 한세대 고신대 아세아연합대 아세아대 제주교대 진주교대 전북산업대 전주교대 한동국제대 부산산업대 부산신학대 부산가톨릭대 대구가톨릭대 추계예술대 충북과학대 전주우석대 포천중문의과대 대구한의대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춘천교대 개혁신학대 충남산업대 동덕여대 경인교대 한국한양대 한려산업대 광주과학기술원 한국전통문화학원 한국해양연구소 대전전문대 대구효성대 대구교대 한영신학대 한국예술종합대 성민대학교 호남신학대 덕성여대 을지의대 가천의대 협성대 인제대 인천대 인천가톨릭대 정보통신대 국제대 정석대 전주교대 전주대 국제디지털대 진주국제대 국립금오공대 중경산업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 대구외국어대 대전가톨릭대 한반도국제대학원대 피어슨대 한국해군사관학교 한국공군사관학교 서울기독대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 광주예술대 광주가톨릭대 광주교육대 광주여대 침례신학대학교 한국성서대 그리스도대 한국생태농업연구원 한국인삼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문화대학원 한국방송통신대 한국교원대 한국산업기술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증권연구원 서울스포츠대학원대 서울벤처대학원대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 원불교대학원대 부산내셔널유니오브테크날리지 경북외국어대 서울산업대 성신여대 예원예술대 서울신학대 서울여대 순천향대 성공회대 영산원불교대 수원가톨릭대 대구예술대 대구교대 서울교대 진주대 관동대 공주대 건양대 국민대 KAERI 광주대 광신대 광운대 연동대 경기대 경주대 경동대 경일대 경남대 경산대 경성대 위덕대 인천대 중부대 강남대 강릉대 대신대 강원대 가야대 계명대 건양대 건동대 세종대 장신대 영산대 영남대 수원대 용인대 울산대 여수대 서원대 신경대 신라대 평택대 삼육대 삼척대 상지대 순천대 성결대 선문대 대전대 원광대 우성대 탐라대 장로대 동명정보대 국제법률경영대학원대 상주대 상명대 세명대 서경대 나사렛신학대 배재대 장로회신학대 부경대 부산교육대 부산외국어대 부산여대 경원대 경운대 루터신학대 마가렛프리차드대 감리신학대 밀양대 목포가톨릭대 목포해양대 목포대 목원대 명지대 명신대 남부대 남서울대 경기방송대 한국육군사관학교
Section3 아세아 산업대 대구 사이버대 동서 사이버대 사이버 외대 한성디지탈대 한양사이버대 한국 사이버대 한국 디지털대 영진사이버대 서울사이버대 서울디지털대 원광디지털대 세계사이버대 영남사이버대 영남신학대 경희사이버대 열린사이버대 세종사이버대 세민디지털대
참고2)
최근 invitation 기준
Accounts(2211) ICT Business and System Analysts(2611) Software and Applications Programmers(2613) 2015 7/6 65 65 65 8/3 65 65 60 9/7 70 65 60 10/9 70 65 65 10/23 70 65 65 11/6 70 65 60 11/23 70 65 60 12/4 70 65 60 12/18 70 65 60 2016 1/8 70 65 60 1/22 70 65 60 2/3 65 65 60 2/17 65 60 60 3/9 70 70 65 3/23 70 70 65 4/13 70 70 65 4/27 70 70 65 5/11 70 70 65 5/25 65 70 65 6/8 X X X 6/22 X X X 7/6 70 70 65 7/20 발표예정 발표예정 발표예정
참고3)
호주 이민 점수표 Age
18–24 years
25
25–32 years
30
33–39 years
25
40–44 years
15
45–49 years
0
English language ability
Test results must be no older than three years immediately before the day on which the visa application was made.
Competent English
IELTS 이치 6, PTE 이치 50+
0
Proficient English
IELTS 이치 7, PTE 이치 65+
10
Superior English
IELTS 이치 8, PTE 이치 79+
20
Skilled employment Only 20 points can be awarded for any combination of skilled employment in and outside Australia
Outside Australia : skilled employment in your nominated skilled occupation or a closely related skilled occupation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three but less than five years (of the past 10 years) 5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five but less than eight years (of the past 10 years) 10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eight and up to 10 years (of the past 10 years) 15
In Australia : skilled employment in your nominated skilled occupation or a closely related skilled occupation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one but less than three years (of the past 10 years) 5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three but less than five years (of the past 10 years) 10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five but less than eight years (of the past 10 years) 15
In skilled employment for at least eight and up to 10 years (of the past 10 years) 20
Qualifications
Doctorate from an Australian educational institution or other doctorate of a recognised standard
20
At least a bachelor degree from an Australian educational institution or other degree of a recognised standard
15
Diploma or trade qualification completed in Australia
10
An award or qualification recognised by the assessing authority in the assessment of the skilled occupation
10
Australian study requirement
One or more degrees, diplomas or trade qualifications awarded by an Australi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meet the Australian study requirement
5
Other factors
Credentialled community language qualifications
5
Study in regional Australia or a low population growth metropolitan area (excluding distance education)
5
Partner skill qualifications
5
Professional year in Australia for at least 12 months in the four years before the day you were invited to apply
5
Nomination/sponsorship (where required)
Nomination by state or territory government (visa subclass 190 only)
5
Nomination by state or territory government or sponsorship by an eligible family member to reside and work in a specified/designated area (visa subclass 489 only)
10
참고4)
호주 경력 산정 시 경력 제외 기준
일정 기간 후 날짜를 deeming date 로 정하고 그 이후의 경력만 인정 해줍니다.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비전공인 경우 어느정도 일하면 그 자격을 갖출 수 있다고 기술심사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학 력
기술심사 시 요구하는 경력
ACS 에서 인정하는 경력
IT 관련 전공-호주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경력면제
10 년 이내의 경력
IT 관련 전공-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2 년
2 년을 제외한 10년 이내의 경력
IT 관련 부전공-학사학위 소지자
5 년
5 년을 제외한 10년 이내의 경력
IT 관련 전공-준학사학위 소지자
5 년
5 년을 제외한 10년 이내의 경력
비전공-학사학위 소지자
6 년
6 년을 제외한 10년 이내의 경력
고등학교 졸업자
비전공-준학사학위 소지자
8 년
8 년을 제외한 10년 이내의 경력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