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는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할까? – 투자 스타일에 맞는 ETF 추천

안녕하세요 :) 지난 글에서는 ETF가 뭔지, 왜 좋은지에 대해 알아봤죠? 오늘은 한 발 더 들어가서, “그 많은 ETF 중에 어떤 걸 고르면 좋을까?” 라는 질문에 🔍 ETF 고를 때 꼭 봐야 할 5가지 기준으로답해보려 합니다.

✅ 1.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 ETF인가요?
ETF는 주식만 담는 게 아니에요.
크게 보면 이렇게 나눌 수 있어요:
-
국내주식형: KODEX 200, TIGER 코스닥150
-
해외주식형: TIGER 미국S&P500, KINDEX 중국본토
-
채권형: KOSEF 국고채 10년, KODEX 단기채권
-
원자재형: KODEX 금선물, TIGER 원유선물
-
혼합형/기타: 고배당, ESG, AI, 인버스/레버리지 등
👉 내가 투자하고 싶은 자산군부터 정해보세요.
✅ 2. 지수 추종형인가, 액티브형인가?
-
지수 추종형: 대표적인 지수(예: 코스피200, S&P500)를 그대로 따라가는 ETF
- 예) KODEX 200, TIGER S&P500
-
액티브형: 운용사가 종목을 선별해서 성과를 극대화하려는 ETF
- 예) 타임폴리오 액티브 ETF, KoAct 삼성액티브 자산운용 액티브 ETF
****👉 처음엔 지수 추종형이 이해하기 쉽고 안정적이에요. 나중에는 액티브형 ETF를 고려해 보세요.
✅ 3. 배당을 받을 것인가, 성장에 베팅할 것인가?
-
배당 중심 ETF
-
PLUS 고배당주, RISE 코리아금융고배당
-
정기적인 배당이 필요한 분께 추천
-
-
성장 중심 ETF
-
KODEX 미국나스닥100, TIMEFOLIO 미국나스닥100액티브, KoAct 미국나스닥성장기업액티브
-
높은 수익을 기대하지만, 변동성은 더 큼
-
👉 투자 성향에 맞게 선택하세요.
✅ 4. 운용 보수(수수료)는 얼마나 되나요?
ETF는 매년 ‘운용보수’가 빠져나갑니다.
| ETF 이름 | 연 보수 |
|---|---|
| KODEX 200 | 0.15% |
| KODEX 미국나스닥100 | 0.0062% |
| 액티브 AI 테마 ETF | 0.5~1% |
👉 장기 투자일수록 보수가 낮은 ETF가 유리할 수 있어요. 하지만 수수료를 포함한 수익률이 높으면 높은 수수료도 감당 할 수 있겠죠?
✅ 5. 거래량과 순자산 규모도 중요해요!
-
거래량이 너무 적은 ETF는 매매가 불리할 수 있고
-
순자산이 너무 작으면 상장폐지 가능성도 생깁니다.
****👉 처음에는 거래량이 많고 순자산 규모가 큰 안정적인 ETF부터 시작하는 게 좋아요.
✍️ 제이슨의 한마디
ETF는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처음엔 헷갈릴 수 있지만, 📌 “무엇에 투자하고 싶은가 + 내 투자 성향은 어떤가” 이 두 가지 기준만 정리되면 훨씬 쉽게 선택할 수 있어요.